본문 바로가기

조선

다수정보 2024. 1. 25.

조선은 한국 역사에서 가장 오래 존속한 왕조로, 1392년에 이성계가 고려를 무너뜨리고 세운 국가이다.

 

조선은 518년 동안 한반도를 통치하면서 문화와 예술, 학문과 과학, 외교와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과 변화를 이루었다. 하지만 19세기 말부터 외세의 침략과 내부의 갈등에 시달리다가 1910년에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멸망하였다.

 

이 글에서는 조선의 역사와 문화, 사회와 정치, 외교와 군사 등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다.

 

조선의 건국과 태조 이성계

 

조선의 건국과 태조 이성계

 

 

조선의 건국자는 태조 이성계이다.

 

이성계는 고려 말기의 무신으로, 홍건적과 왜구, 몽골과 여진 등의 침입에 맞서 공을 세웠다. 1388년에 우왕이 명나라의 요동 정벌을 명령하자, 이성계는 이에 반대하고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성계는 공양왕을 세워 선위 형식을 갖추고, 신진사대부들과 함께 고려의 개혁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고려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고수하려는 보수파와의 갈등이 심화되자, 이성계는 고려를 폐하고 새로운 왕조인 조선을 세우기로 결심하였다.

1392년에 이성계는 개경의 수창궁에서 즉위하였다.

 

이성계는 왕이 되면서 이름을 단으로 바꾸었고, 묘호는 태조로 정하였다. 태조는 조선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 한양으로 천도하고, 과거제도와 관직제도, 법률과 행정, 재정과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실시하였다. 특히, 훈구문제와 과전문제를 해결하고, 농사와 장사를 장려하고, 인재를 발굴하고, 외교를 강화하고, 국방을 강화하는 등 국가의 안정과 번영을 위해 노력하였다.

 

태조는 1398년에 왕자의 난을 계기로 제2대 임금인 정종에게 양위하였고, 1408년에 죽었다. 태조의 능은 경기도 구리시의 건원릉에 있다.

 

조선의 전성기와 문화의 발전

 

조선은 태조 이성계의 개혁을 바탕으로 15세기와 16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이 시기에는 태종, 세종, 성종, 중종, 인조, 현종, 숙종 등의 명군명인들이 나왔고, 문화와 예술, 학문과 과학, 외교와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발전과 변화를 이루었다.

 

태종과 세종의 개혁과 정치

 

태조의 둘째 아들인 태종은 1400년에 왕위에 올랐다.

 

태종은 태조의 개혁을 계승하고, 조선의 정치와 행정, 법률과 재정, 군사와 외교 등을 체계화하고 강화하였다. 특히, 노비문제와 녹읍문제를 해결하고, 관리의 직무와 책임을 명확히 하고, 재정을 개선하고, 군사를 훈련하고, 외교를 활발히 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국가의 기반을 다졌다.

 

태종은 1418년에 죽었고, 묘호는 태종이고, 시호는 성문영무대왕이다. 태종의 능은 경기도 연천군의 영릉에 있다.

 

태종의 세째 아들인 세종은 1418년에 왕위에 올랐다. 세종은 조선의 가장 위대한 군주로 평가되고 있다. 세종은 태종의 개혁을 계승하고, 조선의 문화와 학문, 과학과 기술, 예술과 음악 등을 발전시켰다.

 

특히, 한글을 창제하고, 천문학과 의학, 농업과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을 펴내고, 신문을 발행하고, 음악과 춤을 개발하고, 외교와 군사를 강화하는 등 조선의 문화와 교육, 과학과 예술, 외교와 군사 등을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세종은 1450년에 죽었고, 묘호는 세종이고, 시호는 문무영명대왕이다. 세종의 능은 경기도 연천군의 영릉에 있다.

 

 

한글의 창제와 학문의 발전

 

세종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한글의 창제이다.

 

세종은 한자로는 백성들의 말과 글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1443년에 28자의 새로운 문자인 한글을 만들었다. 한글은 소리와 모양이 일치하는 과학적이고 민족적인 문자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문자로 인정받고 있다.

 

세종은 한글을 만든 후에 1446년에 훈민정음(Hunminjeongeum)이라는 책을 펴내어 백성들에게 한글을 가르쳤다. 훈민정음은 한글의 원리와 구성, 사용법을 설명한 책으로, 세계 최초의 문자학서이다.

 

세종은 한글을 창제하고 나서도 학문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세종은 세종실록(Sejong Sillok)이라는 책을 펴내어 조선의 역사와 문화, 정치와 경제, 외교와 군사 등을 기록하였다.

 

세종실록은 세종의 통치 기간 동안의 사실을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록한 책으로, 세계 최고의 역사서이다. 세종은 또한 세종대왕실록지리지(Sejong Daewang Sillok Jiriji)라는 책을 펴내어 조선의 지리와 행정, 자연과 문화, 민족과 역사 등을 기록하였다.

 

세종대왕실록지리지는 세종의 통치 기간 동안의 조선의 모습을 담은 책으로, 세계 최고의 지리서이다.

 

천문학과 의학, 농업과 기술의 발전

 

세종은 천문학과 의학, 농업과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세종은 천문학자들을 모아 천문도서관(Cheonmundoseogwan)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천문학과 관련된 책들을 펴내고,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고, 천문기기들을 개발하였다.

 

세종은 자격루(Jagyeokru)와 혼천의(Honcheonyi)라는 천문기기를 만들어 천체의 위치와 시간을 측정하였다. 세종은 또한 앙부일구(Angbuilgu)와 일진천각기(Iljinchunanggi)라는 천문기기를 만들어 태양과 달, 별의 움직임을 예측하였다.

 

세종은 이러한 천문기기들을 이용하여 천문일보(Cheonmunilbo)와 천문연감(Cheonmunyeongam)이라는 책을 펴내어 천체의 움직임과 일출과 일몰, 월령과 월식, 태양의 고도와 방위 등을 기록하였다.

 

세종은 의학과 관련된 책들을 펴내고, 의료기관을 설립하고, 의료인력을 양성하고,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세종은 동의보감(Donguibogam)이라는 책을 펴내어 한의학의 이론과 실제, 병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과 처방, 약재와 조제 등을 기록하였다. 동의보감은 한의학의 백과사전으로, 세계 최고의 의학서이다.

 

세종은 또한 향약집성방(Hyangyakjipseongbang)이라는 책을 펴내어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약초의 효능과 채취법, 저장법, 사용법 등을 기록하였다. 세종은 또한 의관(Uigwan)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의사와 약사, 간호사 등의 의료인력을 양성하였다. 세종은 또한 의원(Uiwon)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왕실과 귀족, 관리와 백성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세종은 농업과 기술의 발전을 위해 농사와 장사를 장려하고, 농업과 기술과 관련된 책들을 펴내고, 농업과 기술의 연구와 개발을 지원하였다. 세종은 농사직설(Nongsajikseol)이라는 책을 펴내어 농업의 이론과 실제, 농작물의 재배법과 관리법, 농기구의 제작법과 사용법, 농업과 관련된 풍속과 예절 등을 기록하였다.

 

농사직설은 농업의 백과사전으로, 세계 최고의 농업서이다. 세종은 또한 경제전략(Gyeongjejeongnyeok)이라는 책을 펴내어 장사의 이론과 실제, 상품의 품질과 가격, 시장의 규모와 위치, 장사와 관련된 풍속과 예절 등을 기록하였다. 경제전략은 장사의 백과사전으로, 세계 최고의 장사서이다.

 

세종은 또한 기공도서관(Gigongdoseogwan)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기술과 관련된 책들을 펴내고, 기술의 연구와 개발을 지원하였다.

 

음악과 춤, 외교와 군사의 발전

 

세종은 음악과 춤, 외교와 군사 등 다른 분야의 발전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세종은 음악과 춤의 연구와 개발을 위해 음악도서관(Eumakdoseogwan)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음악과 춤과 관련된 책들을 펴내고, 음악과 춤의 공연과 교육을 지원하였다. 세종은 아악(Aak)과 향악(Hyangak)이라는 두 가지 종류의 음악을 발전시켰다.

 

아악은 중국에서 전래된 음악으로, 세종은 아악청(Aakcheong)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아악보(Aakbo)라는 책을 펴내어 아악의 악보와 연주법, 악기와 의상 등을 기록하였다.

 

향악은 한국에서 발전된 음악으로, 세종은 향악청(Hyangakcheong)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향악보(Hyangakbo)라는 책을 펴내어 향악의 악보와 연주법, 악기와 의상 등을 기록하였다. 세종은 또한 무용(Muyong)과 무곡(Mugok)이라는 두 가지 종류의 춤을 발전시켰다.

 

무용은 무술과 춤을 결합한 춤으로, 세종은 무용청(Muyongcheong)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무용보(Muyongbo)라는 책을 펴내어 무용의 동작과 의미, 의상과 소품 등을 기록하였다. 무곡은 음악과 춤을 결합한 춤으로, 세종은 무곡청(Mugokcheong)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무곡보(Mugokbo)라는 책을 펴내어 무곡의 동작과 의미, 음악과 악기, 의상과 소품 등을 기록하였다.

 

세종은 외교와 군사의 발전을 위해 외국과의 교류와 협력을 활발히 하고, 국방과 안보를 강화하였다.

 

세종은 명나라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일본과의 통상과 교류를 재개하고, 조선과 인접한 나라들과의 사신과 통신을 주고받았다.

 

세종은 또한 외국어관(Oegugeogwan)이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외국어와 외국문화를 연구하고, 외국어와 외국문화와 관련된 책들을 펴내고, 외교관과 통역관을 양성하였다.

 

세종은 또한 병마사(Byeongmasa)와 수해사(Suhaesa)라는 기관을 설립하고, 군사와 관련된 책들을 펴내고, 군사의 연구와 개발을 지원하였다. 세종은 또한 화포(Hwapo)와 포신(Posin)이라는 두 가지 종류의 무기를 개발하고, 군사 훈련과 군사 행사를 실시하고, 국경과 해안을 방어하고, 외적과 내적을 진압하였다.

 

조선의 쇠퇴와 몰락

 

조선은 15세기와 16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하였지만,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쇠퇴와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세종 이후의 왕들이 대부분 무능하고 탐욕스러웠고, 양반과 관리들이 권력과 재산을 독차지하고, 백성들이 가난하고 고통받았다. 또한, 외세의 침략과 내부의 갈등이 끊이지 않았고, 문화와 예술, 학문과 과학, 외교와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퇴보와 정체를 겪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조선의 쇠퇴와 몰락의 가장 큰 원인은 외세의 침략이었다.

 

조선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일본의 침략을 받았다. 이것을 임진왜란(Imjin Waeran)이라고 한다. 임진왜란은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중국의 명나라를 침공하기 위해 조선을 거쳐가려고 한 것이었다.

 

일본은 20만 명의 군대를 조선에 파견하였고, 조선은 대부분의 성과 도시를 잃고, 왕과 왕실이 피신하고, 백성들이 죽거나 잡혀가고, 문화재와 자료들이 불타거나 약탈되었다. 조선은 명나라의 군사적 지원과 조선의 민중들과 양반들의 저항운동, 그리고 조선의 장군들과 장수들의 활약 덕분에 일본의 침략을 격퇴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에서 조선의 영웅으로 기록된 인물들은 이순신, 권율, 김시민, 신립, 유성룡, 정몽주, 강화도의 할머니 등이다.

 

조선은 1627년과 1636년에 두 번의 몽골의 침략을 받았다. 이것을 병자호란(Byeongjahoran)이라고 한다.

 

병자호란은 몽골의 후손인 후금이라는 나라가 조선에게 명나라에 대한 복종을 요구하고, 조선이 거절하자 침략한 것이었다. 후금은 10만 명의 군대를 조선에 파견하였고, 조선은 수도인 한양을 잃고, 왕과 왕실이 남한산성에 갇히고, 백성들이 죽거나 잡혀가고, 문화재와 자료들이 불타거나 약탈되었다.

 

조선은 후금의 침략을 막기 위해 명나라와 협력하고, 조선의 장군들과 장수들의 저항을 펼쳤다. 병자호란에서 조선의 영웅으로 기록된 인물들은 김상헌, 김천, 이광명, 이명립, 이순신, 이원익, 이충무, 정일홍, 정유재, 최명길, 최영, 홍경래 등이다.

 

사대부와 농민, 실학과 문화

 

조선은 외세의 침략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지만, 그 속에서도 사회와 정치, 문화와 학문, 예술과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와 발전을 이루었다. 이 시기에는 사대부와 농민, 실학과 문화 등의 키워드가 두드러졌다.

 

사대부는 조선의 양반 계급 중에서 가장 권력과 영향력이 큰 사람들이었다. 사대부는 조선의 정치와 행정, 법률과 재정, 군사와 외교 등을 주도하고, 과거제도와 관직제도, 성리학과 유교 등을 유지하고, 왕과 왕실, 관리와 백성들을 통제하였다.

 

사대부는 네 개의 대표적인 세력으로 나뉘었는데, 이것을 노론(Noron), 서론(Seoron), 남인(Namin), 북인(Bukin)이라고 한다. 사대부는 자신들의 이익과 세력을 위해 서로 경쟁하고, 왕권을 약화시키고, 백성들을 억압하고, 외세의 침략에 대비하지 못하였다.

반응형

'세계 도시날씨 해외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계 이황  (1) 2024.01.26
세종대왕  (1) 2024.01.26
이순신 장군  (1) 2024.01.25
대한제국 선포의 배경과 과정  (2) 2024.01.25
고려: 918년 고구려의 후예인 왕건이 세운 국가  (1) 2024.01.22

댓글